6월 19일(목) 조선일보는 「정부 작년 쌀 너무 많이 사들여…가격 19개월 來 최고」라는 제목으로 지난 6월 15일 기준 산지쌀값이 50,420원/20kg으로 2023년 11월 5일 기준 산지쌀값 50,346원/20kg 이후 처음으로 5만 원대로 올라섰다고 하면서, 정부가 수확기에 쌀을 대거 사들였기 때문에 공급 부족으로값이 오른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
❶ 6.15일자 산지쌀값은 약 20만원/80kg으로 수확기 평년쌀값 수준으로 회복하였습니다.
지난해 정부는 쌀값 안정을 위해 선제적인 수급 관리 대책을 추진하였으며,산지쌀값은 수급 관리 대책과 9월 고온에 따른 작황부진(도정수율 감소)등의영향으로 지난해 11.15일부터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해왔고, 통계청에서 발표한 6.15일 산지쌀값은 201,680/80kg원으로 지난 순기 대비 1% 상승하여,평년 수확기 쌀값인 약 20만원/80kg수준을 회복하였습니다.
❷ 민간 및 정부 재고량은 충분하나, 일부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 등은 쌀값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정부는 수급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가 매순기별로 모니터링하고 있는 민간 재고량은 5월 말 기준으로약 54만 톤 수준이며, 수급 균형이었던 ’19년산의 동기 재고량 57만 톤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이와 함께 정부양곡 재고는 총 93만톤(국산, 4월 말 기준)으로 충분한 재고 물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5.30일 기준 민간 재고량(천톤) : (’20) 569, (’21) 502 (’22) 868 (’23) 509 (’24) 775
전체적인 수급상황은 안정적이지만, 수확기에 벼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았던 민간 산지유통업체와 일부 농협 RPC는 원료곡(벼) 확보에 어려움을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향후 쌀값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는 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농협 등과 협력하여 현장의 애로사항을 조속히 완화시키겠습니다.
❸ 정부는 논 타작물 재배 확대 등 수급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습니다.
정부는 쌀 수급 균형과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콩, 가루쌀 등 전략 작물의 생산 기반과유통 활성화, 소비 촉진 등을 지원하고있습니다. 향후 전략 작물 품목을 확대하고 지원 수준을 높이는 등 선제적 수급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마련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