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
총관리자
디지털소통팀
2025.09.01
1194

(농림축산식품부 로고),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 예산안 로고) 2026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 희망을 실현하는 농업·농촌,  국민과 함께하는 농정 대전환  2026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  `26년도 농식품부 예산안 20조 원 350억 원으로  사상 첫 20조 원 돌파!(전년 대비 6.9% 상승)

01 식량안보 강화 및 유통구조 혁신  - 전략작물직불 4,196억 원 : 수급조절용 벼(2만 ha) 신규품목 도입 등 지원 확대(+1756억 원)  - 비축지원 8,984억 원 : 콩 수매비축 물량 2배(3만톤→6) 확대  - 농산물온라인거래활성화 304억원 : 판, 구매자 선택형바우처 신규 도입(186억원)  - 도매유통활성화지원(융자) : 1,460억원 : 온라인도매시장 출하, 정산자금 지원 확대(+400억원)  - 농산물산지유통활성화 465억원 : 스마트 APC 신규 40개 구축

02 국민먹거리 돌봄 강화  - 어린이 과일 간식 지원 169억원 : 초등학생 1~2학년 60만 명 대상 과일간식 지원 재개  - 직장인 든든한 한끼 79억원 : 산단근로자 등 직장인 대상 아침, 점심밥 신규 지원  - 농식품바우처 740억원: 지원대상(생계급여 수급 가구 중 임산부, 영유아, 아동 → 청년 추가) + 지원기간(10개월 →12)  - 천원의 아침밥 111억원: 대학생 식수인원 450만식에서 540만식으로 확대  - 농축산물할인지원 : 1,080억원

03 농가 소득·경영 안정을 위한 국가 책임 강화 및 농업 세대전환 촉진  - 친환경농업직불 407억 원: 친환경 논, 과수, 밭 면적(약1만ha)확대  - 수입안정보험 2,752억 원: 품목(15품목→ 20) 및 가입률 상향(+674억 원)  - 재해복구지원 2500억 원 : 재해대책비 확대(+900억 원)  - 농업 인력 지원 399억 원: 공공형 계절근로 20개소 + 근로자 기숙사 5개소 추가  - 맞춤형 농지 지원 1조 8,077억 원 : 비축농지(2,500 ha→4,200), 선임대, 후매도(50h→200) 확대

04 AI 기반 농업의 스마트화, K-푸드+ 수출 확대 등 농식품 산업 성장 뒷밤침   - 국가 농업 AX 플랫폼 705억 원: 농업분야로 AI 기술을 확산하기 위해 민관이 합동으로 기반 조성 추진 - 노지 스마트농업 ICT 융복합 확산 103억 원: 주요 작물 주산(5개소)에 맞춤형 기술 확산 - AI 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지원 675억 원: 30개 AI 제품 대상 최대 30억 원지원 - 농업분야 R&D 투자 2,612억 원: AI 기반 농작업 협업, 그린바이오 산업화 기술 등 R&D 대폭 확대(+345억원, 15.2%↑) - 농식품글로벌 경쟁력강화 1,158억 원 : 농식품 수출바우처 2배(360개소 → 720) 수준 확대

05 균형성장을 선도하는 농촌 -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신규) 1,703억 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6개 군 거주 주민 월 15만 원 지급 - 농촌공간계획 수립 및 재생 1,637억 원: 농촌공간정비 15개소 추가 - 농촌빈집 철거 지원 105억 원: 농촌 빈집 철거 약 1,300호 -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96억 원: 대상인원 5만 명 →8만 명 확대 - 농촌지역 복지 지원 1,712억 원: 왕진버스 15만명에서 18만명까지 확대, 농업인 연금보험료 기준소득금액 월103만원 →106만원

06 사람과 동물이 더불어 행복한 사회 - 반려동물 복지 강화 120억 원: 동물복지 인식제고를 위한 대국민 인식 개선 은퇴 국가 봉사동물 입양 신규 지원 길고양이 중성화수술 11.2만 마리→12.3만 마리 - 동물의료 안전관리 강화 35억 원: 동물보건사 행동지도사 인력 양성, 기질평가시설 1개소 추가 -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86억 원: One-Welfare Valley 조성(11억 원→ 71억 원)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농림축산식품부 이(가) 창작한 2026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