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은 계절적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지만 올해는 전·평년보다 안정된 수준
2025.06.30 16:54:00   유통소비정책관  원예산업과

<보도 주요 내용>

 

  630() 세계일보 장마·폭염 앞 채소값 들썩물가 비상등기사에서 배추 한포기 가격은 3,679원으로 지난달(3,148) 보다 16.87% 상승했다.” 내용 등 장마와 폭염으로 채소류 가격이 상승세이고, AI 발생으로 닭고기, 계란 등 가격도 오를 수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대부분 채소류는 서늘한 기후에 잘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고온이 지속되는 여름철에는 비교적 높은 가격 수준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금년에는 채소류 가격이 전년 또는 평년보다 안정된 상황입니다.

 

  배추의 경우 6월 평균 소비자가격은 포기당 3,425원으로 전년(3,560)보다 3.8% 낮고, 평년(3,827)보다도 10.5% 낮은 수준입니다. 또한 기사에서 언급한 열무, 상추, 시금치도 전·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열무(/kg) : (평년 6) 2,378, (전년 6) 2,484, (금년 6) 2,451(평년비 3.1%, 전년비 1.3%)

  * 적상추(/100g) : (평년 6) 962, (전년 6) 906, (금년 6) 927(평년비 3.6%, 전년비 2.3%)

  * 시금치(/100g) : (평년 6) 798, (전년 6) 804, (금년 6) 800(평년비 0.2%, 전년비 0.6%)

  

  농식품부는 고온 등 여름철 이상기상 등에 대비하여 철저한 생육관리를 지원하여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할인지원 등을 통해 소비자 체감 물가를 안정시키는데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기사에서 보도한 닭고기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3.7% 올랐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지난달(‘25.5) 닭고기 소비자가격은 5,657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하락하였습니다.

 

  * 소매(5): (평년) 5,593/kg, (‘24) 5,868 (’25) 5,657(평년비 1.1%, 전년비 3.6%)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는 소규모 토종닭 농가에서만 발생하여 닭고기 수급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올 여름철 닭고기 공급량이 전·평년 수준으로 소비자가격도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 7월 닭고기 도축마릿수(KREI) : (평년) 7,393만마리, (’24) 7,435 (‘25p) 7,321~7,470

 

  더불어, 계란 가공품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을 통해 가공용은 수입산을 하도록 하는 등 소비를 분산하고, 축사시설 개선 등도 지원하여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농림축산식품부 이(가) 창작한 여름철은 계절적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시기지만 올해는 전·평년보다 안정된 수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