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신품종보호 출원 13,519품종 돌파
2024.07.29 11:00:00   국립종자원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 이하 종자원)2024년 상반기 279개 식물 신품종이 품종보호 출원되어 전년 상반기(257) 대비 8.6% 증가했으며 누적 출원품종수는 13,519품종, 등록품종수는 10,215품종이라고 밝혔다.

 

  품종보호제도는 특허제도처럼 지식재산권의 한 종류이며, 식물신품종 보호법에 따라 식물 신품종에 대한 육성자의 독점적 권리를 법적으로 보호한다. 1998년 품종보호제도 시행 이후 2024년 상반기까지의 누적 출원 현황을 작물류 중심으로 분석하면 국화·장미 등 화훼류가 49%(6,626품종) 가장 많고, 딸기·상추 등 채소류가 25%(3,343품종), ·콩 등 식량작물이 13%(1,706품종), 사과·복숭아 등 과수류가 7%(992품종)로 나타났다. 2024년 상반기 누적 출원 13,519품종 중 국내 출원건수는 10,720(79%)이며, 외국 출원건수는 2,799(21%)으로 이 중 화훼류가 85.9%(2,403)를 차지한다.

 

  아울러, 2024년 상반기까지 품종보호 출원 후 종자원의 서류심사 및 재배심사를 거쳐 품종보호 등록된 10,215개 품종을 작물류별로 분석하면, 화훼류가 50%(5,128품종)로 가장 많고, 채소류 24%(2,419품종), 식량작물 14%(1,395품종), 과수류 6%(645품종)로 나타났다. 개별 작물로는 장미가 1,161품종으로 가장 많이 등록되었으며, 국화 1,090품종, 570품종, 고추 462품종, 배추 301품종 순으로 나타나 상위 5개 작물의 등록품종수가 전체 등록품종수의 약 35%를 차지한다. 2024년 상반기에는 방가지똥, 로단세멈호스마리엔세 2개 작물이 국내에 처음으로 품종출원 되었다.

 

  종자원 김국회 품종보호과장은 종자원은 품종보호제도를 운영해 온 종자 전문기관으로서 최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품종 개발 흐름에 맞추어 병 저항성 및 기능성 신품종이 등록될 수 있도록 심사기준을 새로 설정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으로 우리 종자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품종보호 출원등록 통계
2. 2024년 상반기 신규 출원 작물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농림축산식품부 이(가) 창작한 식물 신품종보호 출원 13,519품종 돌파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